2025년 정책/정책

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및 이력관리제 란?

seetheworld0118 2025. 1. 21. 23:15

전기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배터리 화재나 성능 저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배터리의 품질과 안전성을 강화해 전기차의 신뢰도를 높이고,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 주기(제작부터 폐기까지)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.


1.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

  • 기존 배터리 제작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인증을 했지만 이제는 정부가 사전 검증 후 직접 인증하는 제도.
  • 배터리가 진동, 충격, 과충전, 과방전, 화재 등 12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안전한지 시험 확인.
  • 전기차 화재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배터리 품질을 엄격히 관리하여 소비자가 안전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.


2. 전기차 배터리 이력관리제

  • 전기차 배터리에 각각의 고유  식별번호를 부여하고, 이 번호를 통해 배터리의 제작, 운행, 폐기까지 전 과정의 정보를 관리함.
  • 배터리 고유 식별번호를 자동차 등록원부에 기재하고 교체 시 새로운 배터리 정보를 등록해야 함.
  • 배터리가 폐기되기 전까지의 모든 이력을 기록함으로써 배터리의 불법 유동이나 부실 관리를 방지하고 재활용 및 환경관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.


3. 기대효과

  • 배터리로 인한 사고를 줄이고, 전기차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.
  • 배터리 전 주기 관리로 재활용 및 폐기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.
  • 품질 관리 체계가 명확해져 소비자가 안심하고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음.



'2025년 2월부터 시행